By 이상혁 2017.10.13
위기의 평창동계올림픽
2018년 2월 9일 개막하는 평창동계올림픽이
한반도 안보 문제로 큰 위기에 빠졌습니다.
2011년 대회 유치가 확정된 이후
지금까지 바람 잘 날 없었던
평창동계올림픽은 그동안
매우 다양한 문제를 마주했습니다.
가장 먼저 2015년
한국 환경운동 시민단체인 녹색연합이
평창동계올림픽을
분산 개최하자고 요구했던 일이 있었죠.
(ⓒ녹색연합)
녹색연합은 평창동계올림픽이
자연 환경을 심각하게 훼손하고
강원도의 부채를 키워 재정적으로
위기를 초래한다면서,
스키장 등의 일부 시설을 북쪽에 지어
북한과 분산개최할 것을 주장했습니다.
이런 요청이 받아들여지진 않았지만
해당 우려는 정부와 강원도가
재정 부담을 나누고 기존 건물 활용을
극대화하자는 선에서 정리가 됐는데요,
이후 또 다른 위기로
'국정 농단' 사건이 발생했습니다.
최순실 일가의 이권 개입 정황이
평창동계올림픽으로까지 영향을 미친 것으로
밝혀지면서 올림픽 주최 측의
이미지에 큰 타격이 있었던 것입니다.
그리고 마지막 위기가 바로
최근 북한의 핵 도발로 인한
각국의 보이콧 움직임입니다.
이번 위기는 지금까지의 위기와 달리
국가 내부가 아닌
나라 밖에서 발생한 만큼
해결이 쉽지 않을 것으로 보입니다.
한반도 정세에 위기를 느낀
국제 사회의 보이콧 움직임?
평창동계올림픽에 대한 보이콧 움직임은
올해 초부터 있었는데요,
북미아이스하키(NHL)리그 사무국이
이미 지난 4월 평창동계올림픽에
참가하지 않겠다고 선언한 것입니다.
아이스하키는 '동계올림픽의 꽃'이라 불리는
최고 인기 종목인데요,
세계적인 아이스하키 슈퍼스타를
대다수 보유한 NHL이 평창 대회 출전을
보이콧함으로써 NHL 선수들을
평창에서 만나볼 수 없게 되었습니다.
사실 NHL의 결정은 북핵 위기보다는
올림픽 기간 동안 리그를
3주간 휴업하는 것에 대한
구단들의 불만에서 시작된 것이지만,
결과적으로 동계올림픽 핵심 종목인
아이스하키뿐만 아니라
평창올림픽 전체 흥행에도
찬물을 끼얹는 일이 되었습니다.
그리고 북핵 도발이 심화된 시점부터는
본격적으로 한반도 정세를 이유로
보이콧을 논의하는
국가들이 나오기 시작했습니다.
대표적으로 지난 9월 21일 로라 플레셀
프랑스 체육부 장관이 한 방송에서
"한반도 안전이 보장되지 않는 한
평창동계올림픽에 참가하지 않겠다"라고
말했던 일이 있었죠.
이후 플라셀 장관은 발언을 번복하고
평창동계올림픽에 참가할 것이라고
공식적으로 재확인해주었지만,
이런 발언이 있었다는 것 자체만으로도
북한과의 갈등 수위가 높아진
대한민국을 바라보는 국제사회의 시선이
심상치 않다는 것이 느껴집니다.
(평창동계올림픽 참가 의사를 공식적으로 재확인한 로라 플레셀 프랑스 체육부 장관 ⓒ로라 플레셀 트위터)
게다가 프랑스에 이어
스키 강국 오스트리아에서도 당국자로부터
한반도 긴장이 완화되지 않으면
내년 평창 동계올림픽에
불참할 수 있다는 발언이 나왔고
독일도 불참 가능성을 시사했습니다.
독일 내무부는
자국의 스포츠 전문매체 SID에,
평창동계올림픽 안전 문제와
독일 대표팀 파견 여부에 대해
올림픽위원회 보안당국이 논의한 후
적절한 시기에 발표하겠다고 말한 것이죠.
오스트리아의 경우는
선수단 참가 결정에 변화가 없다는 입장을
확인해주면서 논란이 진정되었지만
독일의 입장은 아직 확인되지 않았습니다.
우리나라 외교부에 따르면 현재까지
공식적으로 안보 불안 등을 이유로
불참 의사를 밝힌 국가는 없다고 하는데요,
유럽의 동계 스포츠 강국들이 내비친
우려가 이미 전 세계로 펴지며
성공적인 동계올림픽 준비에
빨간불이 켜졌습니다.
(ⓒ평창동계올림픽)
티켓 판매 부진 심각
평창동계올림픽 조직위원회는
입장권 총 발행량(118만 장)의 90% 규모인
107만 장을 판매 목표치로 잡았는데요,
20일 노웅래 더불어민주당 의원실이
조직위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현재까지 판매된 티켓은 총 27만 장에
그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는 목표치의 25%에 불과한 수치입니다.
역대 동계올림픽의 입장권 판매율이
92∼95% 정도를 보였음을 고려하면
평창의 티켓 판매 부진이
얼마나 심각한지 알 수 있습니다.
내년 3월에 개막하는 장애인 동계올림픽
패럴림픽은 상황이 더 좋지 않습니다.
지난 12일까지 개·폐회식 포함 판매량이
단 361매에 그쳤는데 이는 목표치 22만의
0.1% 수준인 것이죠.
올림픽 개막이 140여 일 남은 상황에서
이렇게 티켓 판매가 부진한 것은
홍보가 부족한 문제도 있지만
안보위기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입니다.
(평창동계올림픽 홍보 활동 ⓒ평창동계올림픽)
경기장 사후활용 계획 마련 시급
회원국들 사이에 불안감이 퍼지자
국제올림픽위원회(IOC)가 진화에 나섰습니다.
IOC는 "안전 문제에 대해 유엔 관련국
정상들이 긴밀한 접촉을 유지하고 있으며
평창동계올림픽에 대해
의구심을 드러낸 경우는 없었다"라고
밝혔습니다.
또한 우리나라 외교부에서도
현재까지 공식적으로 평창동계올림픽에
불참 의사를 밝힌 국가는 없음을
확인해주면서,
"안보 상황에 대해 우려를 표시한
일부 국가들에는 외교 채널을 등을 통해서
우리 측의 입장을 적극적으로 알리려고
노력해 나갈 것"이라고 설명했습니다.
그러나 여러 악조건 속에서
결국 흥행 부진이 발생했을 때,
이에 대한 실질적인 해결책이 될 수 있는
경기장 사후활용 계획 마련도
시급하다는 의견이 많이 나오고 있습니다.
(개회식과 폐회식이 열리는 평창올림픽스타디움 ⓒ평창동계올림픽)
평창동계올림픽 경기장 건설에 든
총 비용은 8,800억 원에 달하는데요,
문제는 올림픽 조직위와 강원도청
정부 부처가 올림픽 시설 사후관리 책임을
서로 떠넘기고 있다는 것입니다.
2002년 월드컵, 2014년 인천아시안게임 등의
국제스포츠대회 모두 행사가 종료된 후
경기장 사후활용에 실패하여
번번이 적자를 보고 있는 상황에서,
평창동계올림픽을 위해 지어진 시설들도
아직까지 제대로 된 사후관리 계획이
마련되지 않았습니다.
이번 올림픽은 역대 최악의 정세 속에서
개최를 앞둔 만큼 더욱 철저한
운영 적자 해결책이 필요한데도
관계부처들이 눈치만 보고 있는 실정이
안타까울 뿐입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