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한문도 교수는 강남의 부동산 시장에 대한 전망을 밝히며, 강남 불패 시대가 끝났다고 단언했습니다.
초고층 아파트의 문제점
교수는 초고층 아파트에 대한 우려를 표명하며, 장기적으로 초고층 아파트가 좋은 선택이 아닐 수 있다고 경고했습니다. 초고층 아파트는 관리비가 많이 들고, 시간이 지남에 따라 유지보수 비용이 증가할 수 있습니다. 특히, 30층 이상의 아파트는 건강에 좋지 않다는 연구 결과도 언급하며, 초고층 아파트의 수요가 줄어들 가능성이 높다고 말했습니다.
부동산 시장의 하방 압력
현재 한국의 경제 상황은 여러 가지 하방 압력을 받고 있습니다. 환율 리스크와 물가 상승이 부동산 시장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이는 부동산 가격 하락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교수는 부동산 시장이 경제 전반의 여러 요소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고 강조하며, 부동산 시장이 당분간 안정되지 않을 것이라고 전망했습니다.
젊은 세대의 주거 선호 변화
또한, 젊은 세대는 얼죽신 (얼어 죽어도 신축) 현상을 보이고 있지만, 교수는 신축 아파트가 무조건 안전하다고 보지 말아야 한다고 경고했습니다. 신축 아파트의 가격이 지나치게 상승하고 있으며, 신축 아파트에 대한 수요가 줄어들 가능성이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전세 시장의 변화
전세 시장에 대해서도 교수는 전세 제도가 사라질 가능성은 낮다고 보았습니다. 전세 대출이 악용되면서 전세 사기가 발생하고 있지만, 전세 제도 자체는 여전히 유효하다고 주장했습니다. 그는 전세 시장이 앞으로도 지속될 것이라고 전망하며, 전세 대출의 규제가 필요하다고 강조했습니다.
부동산 투자 전략
마지막으로, 교수는 부동산 투자에 대한 조언을 하며, 적정 가격일 때 매수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습니다. 현재의 시장 상황을 고려할 때, 서울 지역은 기다리는 것이 좋고, 지방은 기회를 잡아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또한, 경매 물건이 많아질 것이라는 전망을 하며, 경매를 통해 내 집 마련을 고려하는 것도 좋은 전략이라고 덧붙였습니다.
*본 콘텐츠는 사이다경제가 운영하는 유튜브 '부티플' 채널의 한문도 교수 인터뷰 영상을 기반으로 제작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