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챗 GPT를 더불어 국내에서도 생성형 AI 제조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죠. 특히나 최근 발표된 갤럭시 S24는 13개국 언어를 동시통역해 주는 온 디바이스 AI 기술을 탑재해 각광받고 있습니다.


그 외에도 많은 기업이 현재 AI 시장에 뛰어들고 있는데요. 우리나라의 기술력은 현재 어느 정도에 자리 잡고 있을까요? 오늘은 AI 생태계 내에서 한국의 위치를 파악함과 함께 앞으로의 시장 전망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한국

전 세계 1위로 만드는 '이것'


우리나라가 AI 생태계에서 좋은 입지를 가질 수 있는 이유는 바로 우리 고유의 데이터 플랫폼을 소유하고 있기 때문인데요. 이게 과연 어떻게 AI에 도움을 주는 걸까요? 


ⓒ한국 IDC 
우리나라 국민들은 디지털 서비스를 굉장히 활발하게 사용합니다. 특히 신규 서비스가 나오면 젊은 세대의 이용률이 상당히 높다고 하는데요. 이에 따라 빅테이터 시장도 점점 몸집이 커지는 상황입니다.  


네이버가 하이퍼클로바X 같은 생성형 AI를 만들 수 있는 것도 이 과정에서 빠르고 많은 양으로 축적된 데이터가 있기 때문입니다. 충분한 정보가 누적되어 있기에 유용한 LLM(대형 언어 모델)을 만들 수 있었고, 다양한 기업에서 또한 기술 개발에 동참할 수 있었던 것입니다.


ⓒOps Now

 

현재 우리나라에서 성공을 거둔 AI 서비스는 다른 나라와 비교해서도 충분히 경쟁력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선진국도 

못 따라오는 1가지


우리나라의 데이터는 특히 의료 부문에서 특출난데요. 다른 나라와 달리 우리나라는 2년에 한 번씩 건강검진을 받게 되어 있습니다. 그리고 이때 쌓이는 데이터는 매우 유용하게 사용됩니다. 


개개인의 데이터를 몇십 년간 모으면 효율적인 의료 시스템을 구축하는 것이 가능해집니다. 미래에는 한명 한명의 사례에 맞춘 세부적인 병명 진단 및 체계적인 건강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게 될 것입니다. 



앞으로 우리가 발전시킬 수 있는 AI 서비스는 무궁무진합니다. 자동차에도 AI 시스템이 내장되어 원하는 곳을 알아서 간다거나, 학습형 CCTV가 범죄에 가까운 행위를 스스로 판별하는 등 오직 인간만이 가능했던 일을 AI가 할 수 있게 되는 겁니다.


따라서 대한민국은 반도체 산업과 더불어 선진화된 온 디바이스 AI 기술력을 갖추었기에, AI 생태계에서 상당한 지분을 갖고 있으며 그런 관점에서 최적의 조건을 갖추었다고 말할 수 있겠습니다. 


*본 콘텐츠는 사이다경제가 운영하는 유튜브 '달란트투자' 채널의 최재붕 교수 인터뷰 영상을 기반으로 제작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