머니스트

#PBR #주당순자산비율

'사업을 접으면 얼마..?' PBR이란?

By 연두 2016.10.13




사업을 접으면 얼마..? 

PBR(Price Book-value Ratio)

PBR(주당순자산비율)은

장부상의 가치로 회사 청산시 주주가 배당받을 수 있는 자산의 가치를 나타냅니다. 

예를 들어 A라는 기업의 순자산이 1,000억이며 A기업의 주식수가 1억주라고 한다면

이 기업을 청산할 때 주주들은 1주당 1,000원을 돌려받게 됩니다.

PBR의 공식 PBR=주가/주당순자산입니다. 만약 A기업의 주가가 1,500원이라면 이 기업의 PBR은 1,500/1,000인 1.5가 됩니다.

이것은 주식을 살 때는 1,500원에 사지만 청산할 때는 1,000원을 돌려받게 됨을 나타냅니다.

PBR은 1이 기준! 주당순자산이 1,000원이고 주가가 1,000원이라면 어떨까요?

이 기업의 주식을 산 사람들은 자기가 지불한 가격만큼 훗날(청산할 때) 돌려받을 수 있게 됩니다.

반대로 주가가 1,000원 이하라면 PBR은 1 미만이 되어 주식을 살 때 지불한 가격보다 훗날(청산할 때) 더 큰 금액을 돌려받을 수 있게 되고요.

PBR이 1 초과이면 청산가치보다 비싼 것이며, PBR이 1 미만이면 청산가치보다 싼 것입니다!

PER은 수익성, PBR은 청산가치! 비교 정리하면 PER이 어떤 순이익을 몇 년 간 낼 때 투자금을 회수할 수 있는지를 나타낸다면

PBR은 당장 기업을 청산할 때 회수할 수 있는 투자금을 나타냅니다.

논쟁! 고PER과 저PER에 대한 논쟁이 존재하듯 PBR에 대해서도 상반된 시각이 존재합니다.

PBR이 1을 넘어도 상관이 없다는 입장과 PBR이 1을 넘지 않는 것이 좋다는 입장이 대립 중인 것입니다!

누가 망할 기업에? PBR에 대한 비판적인 시선 중 하나는 '청산가치'를 왜 고려해야 하냐는 것입니다.

나는 망할 기업에 투자하는 것이 아니라 돈을 벌어들이는 기업에 투자하는 것이므로 PBR보다는 PER만 중시하면 된다는 주장이 있습니다.

자산가치뿐? 또한 주식시장에서 주가가 매겨질 땐 자산가치뿐 아니라 수익성, 사업의 성장성, 주주환원정책 등이 모두 고려되어 

가격이 평가됩니다. 자산가치 외에도 고려할 게 많다는 것입니다.

수익성이 뛰어나고 성장성이 뛰어나다면 청산가치 이상의 프리미엄을 충분히 받을 자격이 있다는 것 또한

PBR이라는 지표에 대한 비판의 근거 중 하나입니다!

안전마진! 반면 PBR은 최악의 경우 기업이 망할 때에도 투자금 이상은 회수할 수 있음을 나타낸다며

저PBR을 중시해야 한다는 주장도 있습니다. 즉 최악의 경우에 안전마진이 된다는 것입니다.

벤자민 그레이엄 세계 최고의 투자자 워런 버핏은 자신의 85%는 벤자민 그레이엄으로, 자신의 15%는 필립 피셔로 이루어졌다는 말을 한 적이 있습니다. 

벤자민 그레이엄은 가치투자의 아버지라고 불리기도 하는데요.

그레이엄이 가장 중시했던 지표 중 하나가 바로 PBR입니다. PBR은 안전마진을, 안정성을 보여주는 지표이니까요!

때문에 보수적인 투자자들은 PBR을 중시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실제 투자에 있어 PBR은 어떻게 활용될까요? PER과 마찬가지로, 상황에 따라 차이가 있습니다. 

투자성향이나 투자전략에 따라 다르게 활용할 수도 있고요. 이에 대해서는 다음에 이어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사이다경제와 카카오톡 플러스친구 맺고

다양한 혜택을 누리세요! (클릭)

https://cidermics.com/contents/detail/567

저작권자 ©(주)사이다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에디터

에디터의 다른글

댓글 0


댓글작성